이슈페이퍼

좋은나라에서는 매주 우리 사회의 중요 현안을 중심으로 정책 이슈 페이퍼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전문적 지식과 분석에 근거하되 좀 더 널리 읽혀 현실 정치와 정책의 개선에 기여하는 자료로 쓰이기를 바라는 지식공유 활동입니다.

애플은 왜 파친코를 만들었을까?: 파친코를 통해 본 빅테크 기업 애플의 생각

현안과정책 400호

글/김대규 (HCN 정책연구원)


애플은 왜 한국의 대하드라마를 만들었을까?

글로벌 시총 1~2위를 다투는 빅테크 기업 애플은 얼마 전 한국인 배우들이 출연해 한국의 가슴 아픈 역사를 담아낸 시대극 ‘파친코(Pachinko)’를 제작해 전세계에 공개했다. 파친코는 100여 년간 한국인 4대가 한국, 일본, 미국을 떠돌며 차별과 멸시를 견뎌낸 가슴 아픈 역사를 다룬다. 공영방송 KBS가 큰 영향력을 떨치던 1980~90년대, ‘토지’, ‘용의 눈물’, ‘태조 왕건’과 같은 대하드라마를 꾸준히 방송하며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내고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주어왔지만, 최근 영향력이 크게 낮아진 KBS에서 이런 작품을 보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이처럼 국내 공영방송에서나 볼 수 있던 대하드라마를 혁신가 스티브 잡스와 아이폰으로 유명한 미국의 빅테크 회사인 애플이 제작해 전세계에 공개한 것이다. 또 하나 특이한 점은 이 작품에는 국내 제작진이 없다는 것이다. 제작사는 제니퍼 애니스톤과 리즈 위더스푼 주연의 “The Morning Show”를 제작한 헐리웃 제작사인 Media Res Studio이며. 감독을 맡은 코코나다와 저스틴 전은 모두 한국계이기는 하지만 미국인이다. 그 동안 넷플릭스가 제작한 한국 콘텐츠가 모두 국내 제작사에서 국내 제작진을 통해 제작된 콘텐츠라는 점과 전혀 다르다. ‘파친코’는 미국 자본이 미국 제작사를 통해 미국인 제작진에 의해 만들어진 완전한 미국 콘텐츠이다.



제작 주체도, 제작 방식도 낯선 이 독특한 콘텐츠는 여러 가지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가장 먼저드는 생각은 세계 최대 빅테크 기업인 애플은 도대체 왜 방송 사업을 시작한 것인가? IT 혁신의 상징 애플과 방송 콘텐츠는 언뜻보면 잘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드는 생각은 애플은 왜 한국의 대하드라마를 1,000억원이나 들여 제작했을까? ‘파친코’에 등장하는 언어는 주로 한국어이며, 다음이 일본어 그 다음이 영어이다. 영어의 비중이 상당히 낮은 이 콘텐츠를 애플은 왜 그 많은 돈을 들여 제작했을까? 이 글은 ‘파친코’라는 독특한 콘텐츠의 등장을 가능하게 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애플은 왜 방송 사업을 시작했을까?

1) 애플의 콘텐츠 서비스 사업

“워렌 버핏은 애플을 기술기업보다는 진짜 소비재 기업으로 이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 워렌 버핏은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회사에는 투자하지 않는다는 절대 원칙을 가지고 있다. 그런 그가 왜 애플과 같은 회사에 크게 투자를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 팀쿡은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팀 쿡) 첨언한다. “우리는 기술이 전면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무언가를 이용할 때 도와주는 배경과 같은 것이어야 한다고 믿는습니다.”1)

애플은 1976년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이 차고에서 만든 컴퓨터 회사이다. 이 기업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용 PC에서 구현하여 이를 대중화 시키며 개인 컴퓨팅 환경의 일대 혁신을 일으켰다. 또한, 휴대용 개인 컴퓨팅 기기인 아이폰을 출시하며 오늘날 모바일 혁명의 시초를 제공하였다. 애플은 기술혁신을 거듭하며 오늘날 우리가 사는 환경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회사이다. 이런 회사의 수장인 팀 쿡은 애플을 언제나 고객 입장에서 생각하는 고객 중심 회사로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애플은 점점 서비스 회사로 변모하고 있다. 애플은 아이클라우드, 애플뮤직, 애플 케어, 애플 뉴스, 애플TV, 애플 피트니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군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서비스 부문을 확장하고 있다. 10년 전만해도 애플 전체 매출액의 8.2%에 불과하던 서비스 부문 매출 비중은 2021년 기준으로 18.7%까지 성장하며, 애플에서 아이폰 다음으로 가장 많은 매출 비중을 기록하는 사업 부문으로 자리잡았다. 애플 서비스 부문의 2021년 매출액은 $684억으로 국내 최대 온라인 플랫폼 기업 네이버의 동년 매출액보다 10배 이상 높다.


※ 애플 부문별 매출액 점유율 추이

자료: Apple annual report 각 연도


애플은 2000년대 초 아이팟 출시 이후 서비스의 위력을 경험했다. 2001년 애플은 휴대용 MP3 플레이어 아이팟을 출시했다. 처음에는 너무 비싼 가격 때문에 큰 반응이 없던 아이팟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2003년 아이튠즈 4.0을 발표하면서 부터이다. 이전까지 아이튠즈는 아이팟에 MP3 음악을 담기 위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였는데, 아이튠즈 4.0에는 직접 음악을 구입할 수 있는 음원 유통 플랫폼인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가 추가 되었다. 당시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에서는 미국 5대 메이저 음반사들이 제공하는 20만여 곡을 한곳에서 들을 수 있었다. 당시만해도 P2P 음악 프로그램 냅스터의 음원 불법 유통,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각 음반사들이 각각 만든 디지털 음원 공급 사이트들이 MP3 음원을 구할 수 있는 창구였는데,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에서는 합법적으로 주요 음반사들이 제공하는 다량의 음원들을 한곳에서 들을 수 있었던 것이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서비스를 출시한지 6일 만에 100만 곡 이상의 곡이 판매되었다. 이이튠즈 뮤직 스토어를 향한 폭발적인 반응과 맞물려 아이팟의 판매량도 가파르게 증가했다. 뮤직스토어 출시 2년 만에 아이팟은 미국 MP3 플레이어 시장의 75%를 장악하였다2).

이후 출시된 아이폰에서도 이와 같은 서비스 결합 전략은 이어졌다. 2007년 애플은 아이폰을 출시하며 앱스토어를 같이 서비스하기 시작했다. 애플은 이 혁명적인 휴대용 인터넷 기기가 그 효용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안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들이 충분해야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었다. 이에 앱을 구매할 수 있는 앱 유통 플랫폼인 앱스토어를 아이폰에 탑재시키며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냈다. 그 결과 아이폰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커다란 시장이 창출되었다.


2) 애플의 TV 사업

애플은 컴퓨터로 시작해 모바일 사업으로 큰 도약을 이루어낸 회사다. 그런 애플이 또 하나 성장시키고자 노력하는 분야는 TV이다. 애플은 2007년 아이폰을 발표한 날 ‘애플TV’라는 이름의 TV 셋톱박스를 출시했다. TV는 애플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완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애플은 종합 미디어 회사가 되고자 하는 야망이 있는 회사다. 개인의 방과 회사에서 이용하는 미디어 기기인 컴퓨터, 개인이 들고다니는 휴대용 미디어 기기인 모바일 폰 시장에서 애플은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이들이 종합 미디어 회사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진출해야하는 분야는 바로 TV이다. TV는 가장 오래된 디스플레이 기반 미디어로 애플 생태계를 끊김없이(Seamless) 연결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분야이다. 애플은 하드웨어와 콘텐츠를 결합해서 성공해온 회사이기 때문에 TV 시장에서도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애플은 아이튠즈에서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아이튠즈 비디오는 건당 구매를 요구하는 TVOD(Transaction VOD) 시스템이다. 콘텐츠를 건당 돈을 받고 판매하는 종합 유통 플랫폼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 서비스는 뮤직 스토어처럼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아이튠즈 뮤직 스토어 이전까지는 한곳에서 모든 메이저 음반사들의 음원을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없었다. 뮤직 스토어가 완전히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던 것이다. 그러나 아이튠즈 비디오 서비스의 경우는 이미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강력한 사업자들이 존재했다. 콘텐츠 사업자들과 공고한 관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실시간과 VOD로 제공하는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그들이다. 애플 입장에서는 이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웠다.


※ 아이튠즈 영화 서비스


이 빈틈을 파고든 것은 넷플릭스다. 넷플릭스는 기존 방송시장의 전통적인 문법들을 파괴하며 빠르게 성장해 나갔다. 애플이 기존 아이튠즈 문법을 TV 시장에 그대로 이식하려다 실패한 사이 넷플릭스는 기존 문법을 파괴하며 성장해가고 있었다. 넷플릭스가 이렇게 빨리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콘텐츠 사업자들이 작은 기업이었던 넷플릭스에 큰 경계심이 없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는 2008년에 영화와 TV시리즈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스타즈(Starz)와 아주 좋은 조건으로 계약을 하였다. 약 2,500개에 달하는 영화와 방송 콘텐츠를 2~3천만 달러에 4년간 제공받는 조건이었다3). 이처럼 콘텐츠를 상당한 저가에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었던 것이 넷플릭스가 초기 성장동력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요인이었다. 넷플릭스는 이를 기반으로 가입자를 끌어모았고, 넷플릭스가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한 이후에야 콘텐츠 사업자들은 본격적으로 견제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미 거대한 기업이었던 애플에게 콘텐츠 사업자들은 그리 우호적이지는 않았다. 음원시장에서 애플이 콘텐츠 사업자들을 제치고 주도권을 확보하는 모습을 지켜봐왔기 때문이다. 이렇게 애플이 TV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이 넷플릭스는 계속해서 성장해 나갔고 시장은 SVOD를 기반으로 하는 OTT 시장으로 재편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애플은 넷플릭스가 만들어놓은 OTT의 문법을 따라 별도의 OTT 서비스를 출시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애플이 다음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미디어는 자동차이다. 단순 이동 수단이었던 자동차는 최근들어 점점 컴퓨팅 기기로 진화하고 있다. 디스플레이가 점점 커지고 있고 통신기기가 탑재되어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다. 이른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로 진화하며 그 안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애플은 2025년 내에 애플카라 불리는 완성차를 내놓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애플의 자동차 시장 진출은 모든 미디어를 하나로 이으려는 애플의 또 다른 시도다. 새롭게 등장할 또 다른 미디어 시장을 놓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 애플카 컨셉 이미지


이 거대한 미디어 기기에서 핵심 콘텐츠 중 하나는 동영상 서비스가 될 수 있다. 현대자동차는 커넥티드 카의 킬러 서비스로 유튜브, 넷플릭스, 티빙과 같은 O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앱을 개발하는 중이다. 운전자 중심의 자동차 환경에서는 음악이 자동차 이용 경험에서 중요한 요소였지만 운전자의 개입이 덜한 완전 자율 주행차 환경에서는 동영상이 핵심 콘텐츠가 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새로운 미디어 시장을 놓칠 수 없는 애플은 이용자 경험을 강화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OTT 서비스인 애플TV+를 적극 활용하려 할 것이다.

 

애플TV+는 왜 파친코를 만들었을까?

다음 질문이다. 애플은 왜 한국 이민자의 대하드라마를 만들었을까? 파친코는 제작비가 약 1,000억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회당으로 나누면 125억에 달한다. 오징어 게임이 9부작 제작에 총 250억을 들인것과 비교하면 이는 정말 막대한 금액이다. HBO의 대작 왕좌의 게임 8개 시즌의 시즌당 평균 제작비는 $1억로 추정되는데4), 이와도 견줄만한 금액이다. 애플이 현금 부자이기는 하지만 이처럼 막대한 금액을 한국을 배경으로 하는 시리즈에 무턱대고 투입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1) 글로벌 OTT 시대, 헐리우드의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의 연장선

영화 산업에 있어 전통적인 글로벌 강자 미국은 과거부터 타국의 역사와 문화 등을 소재로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제작하는 노력을 해왔다. 특히, 디즈니가 이런 노력을 가장 적극적으로 해왔다. 뮬란, 라따뚜이, 모아나, 코코, 루카와 같은 작품들은 각각 중국, 프랑스, 마우이족, 멕시코.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한다. 디즈니 작품 외에도 중국의 마지막 황제인 푸이의 일생을 소재로 한“마지막 황제”, 일본의 기생 게이샤를 소재로 한 “게이샤의 추억”도 헐리우드 자본으로 만들어진 타국 배경의 영화이다. 이를 글로벌화와 현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전략이라 부를 수 있는데, 헐리우드가 이런 시도를 하는 가장 우선적인 이유는 세계시장이 공유할 수 있는 내용과 형식을 담아내어 각국에 진출했을 때 문화할인율(cultural discount)을 최저화하고자 함이다5). 이를 통해 세계시장에서 흥행을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관련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미 콘텐츠 유통의 세계화가 이루어진 영화시장에서는 미국자본의 이러한 시도가 계속해서 있어왔다.



반면, 방송용 극 형태인 시리즈물의 경우는 영화에서처럼 타국의 문화나 역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시도가 많지 않았다. 특정 에피소드에서 다른 나라의 문화를 다루거나 여러 캐릭터 중 타국의 캐릭터를 등장시키는 경우는 종종 있었지만 타국의 문화와 역사 등을 담은 내용으로 극 전체를 만드는 일은 거의 없었다. 주파수를 바탕으로 송출되는 방송 콘텐츠는 주파수의 한계로 인해 자국 중심으로 유통을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시리즈 물에서는 자국의 수용자들만 고려하면 될 일이었다. 그러나, OTT 시대에 이르러서 넷플릭스를 필두로 홈미디어의 배급망이 세계화되기 시작하며, 시리즈물에서도 타국의 수용자들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기 시작했다. 이는 시리즈 물에서도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이 적극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로 이어졌다. 넷플릭스는 타국의 제작사를 통해 해당 국가의 제작진과 배우로 그 나라의 이야기를 담은 시리즈를 계속해서 제작하고 있다. OTT의 글로벌 확산이 만들어낸 새로운 풍경이다.

OTT가 주도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에 가장 도드라지는 국가가 바로 우리나라이다.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의 콘텐츠가 전세계로 유통되며 작품의 우수성을 세계시장에서 인정받았고 이는 전과는 다른 차원의 한류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과거 동양하면 중국과 일본을 떠올리던 서양 콘텐츠 제작자들의 시선을 한국으로 돌리게 했다. 애플은 애플TV+를 미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하는 OTT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런 맥락에서 한국의 콘텐츠가 필요했고 그 중 미국과 전세계에서 충분히 검증받은 원작6)을 믿고 과감한 투자를 한 것으로 보인다.


2) 미국 이민 역사와의 동질성 

파친코는 한국의 이민자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그 본질은 미국의 이민자 이야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애플이 아무리 글로벌 시장을 신경쓴다고 하지만, 애플TV+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비주류이다. 가장 큰 시장인 미국 시장을 만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도는 할 수가 없다. 파친코는 미국인들이 충분히 공감할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미 이와 유사한 이야기들이 미국에서 검증받은 적도 있다.

일본에서 파친코 사업은 재일 한국인인 자이니치들이 주도권을 갖고 있는 사업이다. 일종의 도박에 해당하는 파친코 산업에 자이니치들이 주로 진출하게 된 것은 이들이 일본 사회 내에서 구조적으로 차별과 배제를 당했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재일한국인들은 공공기관이나 민간기업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없었는데 그 결과 이들이 파친코와 같은 지하경제 산업에 몰려들게 하였다. 즉, 파친코는 자이니치들이 이민자로서 겪은 차별의 산물이다. 이민진 작가가 자이니치의 이야기를 쓰며 제목을 파친코로 정한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미국의 영화들이 있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대부’와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아이리시맨’이 그것이다. 대부는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이야기이며, 아이리시맨은 아일랜드 이민자들의 이야기이다. 두 영화의 감독 모두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으로 각각 자기만의 시각으로 미국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이민자들의 마피아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미국은 이민자의 국가이다. 그러나 이민자들 간에도 차별이 존재했다. 주류인 영국계 이민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게 들어온 이탈리아계와 아일랜드계 이민자들은 구조적인 차별에 시달려야했다. 취업도 어려웠고 경찰의 보호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들은 구조적 차별에 대응하여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마피아를 조직했다.


※ 1903년 미국 잡지 ‘Judge’에 실린 유럽 이민자 차별 만화7)

이렇게 주류 집단에 의해 철저히 배제된 사람들이 살아남기 위해 법과 먼 곳에 있는 시스템에 의지한 역사가 존재하는 곳이 미국이다. 미국은 이미 차별과 배제의 역사를 충분히 경함한 국가이고, 이를 소재로 한 영화가 대중과 평단에서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다는 것을 경험한 국가이다. 드라마 ‘파친코’의 총괄 제작을 맡은 테레사 강 로우는 기획 초반부터 ‘대부’시리즈를 많이 참고했다고 밝힌 바 있다8). 이민자 차별의 역사를 경험하고 그러한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나라가 미국이다. 파친코가 보여주는 이민자 차별의 역사는 미국의 아픈 역사를 재현하는 것으로서 충분히 미국에 소구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것이다. 이것이 소설 ‘파친코’가 미국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를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마치며

미국의 거대 글로벌 기업 애플이 제작한 ‘파친코’는 작품 내적이나 외적으로 상당히 많은 이야깃거리들을 품고 있다. 과거 공영방송사가 민족문화 창달 등의 이유로 제작하던 대하드라마가 다른 나라의 빅테크 기업의 손에서 제작되어 전세계로 배급되고 있다. 이는 미디어 환경 변화의 결과물이다. 방송 콘텐츠가 다른 산업과 연계되어 전체 생태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 변모하고 있다. 너무나 많은 사업자들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며, 소재가 빠르게 고갈되고 있고 이 빈틈을 우리나라의 콘텐츠가 파고 들고 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겪은 아픔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의 역사와 맞물려 하나의 좋은 소재가 되었고 그것이 다른 국가의 많은 사람들에게 큰 공감을 이끌어냈다. 우리의 이야기 중 세계인의 공감을 이끌어낼 콘텐츠는 아직도 많다고 생각한다. 글로벌 거대 사업자들이 세계를 무대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시대, 우리나라 국민들이 겪어왔던 희로애락들이 해외 자본에 의해 만들어져 글로벌 OTT를 통해 시청하는 경험은 앞으로도 계속될 수 있을 것이다.

 


1) CNBC(2019.8.19.). Tim Cook says Warren Buffett’s investment shows that Apple isn’t really a tech company anymore

2) 전자신문(2011.10.6.). 혁신의 아이콘 ‘스티브잡스’가 쓴 드라마들, 이석원 기자

3) 김대규(2016). 넷플릭스의 미래 전망 – 재무적 관점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 제28권 제22호

4) Variety(2022.4.22.). How HBO Kept ‘House of the Dragon’ Costs Under $20 Million per Episode

5) 홍석경.(2005).세계화와 문화산업의 새로운 정체성 논리헐리웃 영화의 아시아스타 수용에 대한 분석.기호학 연구,1(17),143-180.

6) 2017년 출간한 소설 파친코는 미국에서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한국을 포함한 30여개 국가에 번역 출간되었다. 출간한 그해에 뉴욕타임즈, BBC 등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었으며, 미국 최고 문학상에 해당하는 ‘전미도서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7) Louis Dalrymple(1903). “Judge”, vol. 4-45

8) 중앙일보(2022.4.10.). 애플이 1000억 들인 '윤여정판 대부' 파친코…일본만 딴지 왜